본문바로가기

일반현황

배후단지 개념

배후단지란 항만의 부가가치와 항만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항만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항만법 제42조에 따라 지정ㆍ개발하는 일단의 토지를 말합니다.

조성취지

울산항 배후단지는 2022년 「제4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에 의거하여 지정·고시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복합물류 및 제조, 오일허브 지원 용도의 부지(면적 1,278천㎡) 조성을 목표로 울산항만공사가 개발하고 있습니다.

입지현황

전면에 오일허브 북항ㆍ북측안벽 2선석이 조성되어 있으며 울산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과 인접한 울산신항의 중심에 위치

편리한 광역교통망 접근성

국도 31호선(온산~두왕) 및 울산국가산업단지 연결도로, 신항만 인입철도('19년) 등을 통한 편리한 광역교통망 접근성

배후에 온산국가산업단지, 석유화학단지, 신일반산업단지, 자유무역지역 등으로 둘러싸인 울산의 첨단 제조 및 물류활동 중심축에 위치

울산신항 항만배후단지

위치 : 울산광역시 남구 용연동 및 울주군 온산읍 일원

조성면적 : 2030년까지 1,277,619㎡ 예정(철송장 부지 제외)

울산항 신항 북항 1단계(1, 2공구) 항만배후단지 : 423,457㎡

울산항 신항 북항 2단계(3공구) 항만배후단지 : 255,817㎡

울산항 신항 남항 3단계 항만배후단지(예정) : 598,345㎡

조성목적 : 산업단지 물류서비스 지원기능 제고 및 오일허브 지원을 위한 '지역산업 선도형 항만배후단지'

※ 울산신항 배후단지(1, 2단계)는 울산항만공사 자체재원으로 조성되는 일반 배후단지로서 자유로운 무역활동으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정부재정이 투입되어 조성되는 자유무역 지역형 배후단지와는 운영 및 조성개념이 다름

조성현황

※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

구분합계1단계2단계
1공구2공구3공구
면적 679천㎡ 242천㎡ 181천㎡ 256천㎡
사업기간 '10. 5 ~ '22. 6 '10. 5 ~ '14. 7 '13. 11 ~ '22. 6 '12. 11 ~ '17. 4
조성용도 복합물류ㆍ제조
오일허브지원
복합물류ㆍ제조 오일허브지원 복합물류ㆍ제조
사업비 1,311억원
(부가세포함)
496억원 375억원 440억원
시행주체ㆍ재원조달 울산항만공사

※ 공정율 (23.2.1. 기준) : 1공구(14.7월 준공), 3공구(17.4월 준공), 2공구(22.6월 준공)

주변 인프라 구축 현황

도로 및 철도 건설현황

※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주세요.

시행사업명구간연장
(km)
차로사업비
(억원)
사업기간
국가 국도
31호선(온산∼두왕)
온산 성진지오텍∼두왕 국도 14호선 6.5 4 1,330 2006.3∼2014.6
울산시 신항만 부두
연결도로
석유화학단지 후문∼북항 8.3 5~6 651 2009.4∼2014.3
울산시 울산국가산업단지
연결도로
청량I.C ~ 처용암입구 5.6 4 1,194 2009.6~2015.12
울산시 울산 신항 인입철도 온양 망양역~신항북항 9.3 단선 1,883 2014∼2019

철송장 : 면적 93,499㎡, 철도시설공단 공사 시행(2020년 준공)


단지 내부 도로 : 주간선도로 (폭원 35m), 보조간선도로(폭원 25m)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정보관리

부서명물류전략실

담당자정승훈

전화번호052-228-5428

최종수정일 2024.05.24